특별프로그램

특별프로그램
6월 25일(수) 15:00-18:20 Room 02  [WB02] 필드로봇포럼 “국내 웨어러블 로봇 기술소개 및 전시”
6월 25일(수) 15:00-18:00 Room 04  [WB04] 로봇의 미래와 휴머노이드
6월 26일(목) 09:00-10:30 Room 04  [TA04]  제어이론연구회 특별세션
6월 26일(목) 16:30-18:15 Room 03  [TB03] 지능형 이동 로봇과 사람과의 상호 작용
6월 26일(목) 16:30-18:00 Room 04  [TB04] 산업체세션 (제우스, 에스오에스랩, 론픽, 파크시스템스)
6월 27일(금) 09:00-10:30 Room 02  [FA02]  MATLAB의 예제를 통해 알아보는 로봇 개발을 위한 신기능

[WB02] 필드로봇포럼 “국내 웨어러블 로봇 기술소개 및 전시”

일시: 6월 25일(수) 15:00-18:20
장소: Room 02 (B1F)

국내 웨어러블 로봇 개발 선도 기관이 모여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을 소개 및 전시하고 앞으로 국내 웨어러블 로봇이 나아가야 할 방향 및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안을 논의하며 아울러 세션 발표 및 전시를 통한 수요자와의 직접적인 교류 및 소통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15:00-15:10: 필드로봇소사이어티 인사말 및 감사패 전달 정현준 박사
15:10-15:25: LIG넥스원 웨어러블 로봇 기술소개 유재관 소장
15:25-15:40: 엔젤로보틱스(KAIST) 웨어러블 로봇 기술소개 공경철 교수
15:40-15:55: 휴로틱스(중앙대) 웨어러블 로봇 기술소개 이기욱 교수
15:55-16:10: FRT 로보틱스 웨어러블 로봇 기술소개 장재호 대표
16:10-16:25: 피치랩 웨어러블 로봇 기술소개 김준우 대표
16:25-16:45: 휴식
16:45-17:00: 국방과학연구소 웨어러블 로봇 기술소개 홍만복 박사
17:00-17:15: 한국기계연구원 웨어러블 로봇 기술소개 박철훈 박사
17:15-17:30: 국립재활원 웨어러블 로봇 기술소개 송원경 과장
17:30-17:45: 아주대학교 웨어러블 로봇 기술 소개 고제성 교수
17:45-18:00: 서울대병원 웨어러블 로봇 임상 및 생체역학 평가/분석 김기원 교수
18:00-18:20: 토의 및 제언

[WB04] 로봇의 미래와 휴머노이드

일시: 6월 25일(수) 15:00-18:00
장소: Room 04 (B1F)

15:00-15:05: 프로그램 소개
15:05-15:30: 휴머노이드에 필요한 AI (이준기 교수, 서울대학교)
15:30-15:55: 휴머노이드 로봇 이그리스 개발 현황 및 모방학습 기술 동향 (박현준 CTO, 로브로스)
15:55-16:20: 휴머노이드의 파급효과 (안지윤 CSO, 리얼월드)
16:20-16:55: The Role and Applications of Dexterous Grippers for Robot Automation (류우석 기술이사, 테솔로)
16:55-17:20: 작업형 휴머노이드 AI Worker (표윤석 이사, 로보티즈)
17:20-17:55: 조립 산업의 로봇 AI 기술 조망 (김대환 팀장, LG전자)

[TA04] 제어이론연구회 특별세션

일시: 6월 26일(목) 09:00-10:30
장소: Room 04 (B1F)

강화학습 기반의 비선형 제어 접근법: 다양한 시도와 가능성 (유세선 교수, 계명대학교)
V2G 시스템의 부하 평활화를 위한 분산형 전기차 충전 스케줄링 (심형보 교수, 서울대학교)
스위칭 시스템 관점에서 본 Soft Q-Learning의 유한 시간 오차 해석 (이동환 교수, KAIST)

 

[TB03] 지능형 이동 로봇과 사람과의 상호 작용

일시: 6월 26일(목) 16:30-18:15
장소: Room 03 (B1F)

16:30-17:00 Next Level 물류, AI 휴머노이드로 가다, 구성용 (CJ대한통운)
17:00-17:15 이미지 색상 공간 융합 및 픽셀 군집화를 활용한 수중 이미지 내 비정형 반사광 영역 분할 알고리즘 개발, 전민규 , 이세진 (국립공주대학교)
17:15-17:30 보조적인 UWB 거리 팩터를 사용하는 시각-관성 SLAM, 이정우 , 김주원 , 고승우 , 심인욱 , 조영근 (인하대학교)
17:30-17:45 모바일 로봇을 위한 음향 반향 기반 깊이 예측 기술, 김미현 , 안혜민 (UNIST)
17:45-18:00 실내 환경에서의 마커 기반 로봇 유도 및 주요 거점 이동 시스템, 황선준 , 김성운 , 이희승 (UNIST)
18:00-18:15 사용자 몰입도 기반 HRI에서 이동형 소셜 로봇의 능동적 행동이 사용자 신뢰에 미치는 영향, 권민지 , 성민재 , 김새미 , 이희승 (UNIST)

[TB04] 산업체세션 (제우스, 에스오에스랩, 론픽, 파크시스템스)

일시: 6월 26일(목) 16:30-18:00
장소: Room 04 (B1F)

중소형 산업용 로봇의 현재와 나아갈 방향 (최명렬 연구소장, 제우스)

본 발표에서는 제우스의 회사 소개와 핵심 로봇 기술을 다루고, 최근 로봇 도입이 확산되는 산업 현장의 흐름 속에서 제우스가 주력하고 있는 중소형 산업용 로봇의 특징과 시장 전망을 소개합니다.

이 시대가 요구하는 LiDAR 기술 (정종규 이사, ㈜에스오에스랩)

라이다(LiDAR)는 자율주행, 산업 자동화,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거리를 측정하고 공간을 인식하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에스오에스랩은 독자적인 센서 설계와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을 기반으로 라이다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관련 제품 및 기술을 본 세션에서 소개할 예정입니다.

로봇 기술과 헬스케어 예방관리의 연결 (백준영 대표, 론픽)

헬스케어 산업에서 근력 운동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로봇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으며, 근력 운동을 수행할때 피트니스적 접근법과 전망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AFM Technology for Semiconductor Metrology and Inspection (안병운 연구소장, 파크시스템스)

반도체 소자의 구조가 나노미터 스케일로 정교화되고, 공정이 입체화됨에 따라, 단순 형상 계측을 넘어 전기적 특성과 화학적 조성까지 포함하는 다물리량 계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본 발표에서는 Park Systems가 개발한 고도화된 원자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 AFM) 기술을 기반으로, 반도체 전 공정 단계에서의 계측·검사 솔루션을  소개하고, 차세대 계측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FA02] MATLAB의 예제를 통해 알아보는 로봇 개발을 위한 신기능

일시: 6월 27일(금) 09:00-10:30
장소: Room 02 (B1F)

1. eVTOL 제어기 설계 및 HITL 환경 구성
2. Unreal을 이용한 시각화 방안
3. MATLAB-ROS 연결